우리의 월경 말하기가 바꾼 세상 2021년 5월 28일 여성환경연대 뉴스레터 입니다💌 지금의 절기는? 소만(小滿) 볕이 풍부하게 들어 만물이 생장해 가득차는 시기예요. 우리의 월경 말하기가 바꾼 세상 "만약 한 여성이 자신의 삶에 대해 진실을 털어놓는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세상은 터져버릴 것이다" 4년 전, 오늘 여성환경연대는 광화문 광장에서 "안전한 생리대는 여성 인권이다! 건강하고 당당하게 월경에 치얼스!"라고 외쳤습니다.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니 피부가 짓무른다는, 면월경대를 사용하니 월경통이 줄어들었다는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였기 때문입니다. 여성들의 월경 경험에 숨겨진 진실이 있다고 생각했기에 일회용 생리대의 안전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다음 해인 2018년, 식약처는 '일회용 생리대 전성분표시제'를 시행했고 환경부는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여성들이 처음으로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기 시작한 1960년대 이후 50년간 생리대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으나, 여성들이 "내 몸이 증거다, 나를 조사하라"며 자신의 경험을 말하기 시작하자 약 2년 만에 일어난 변화입니다. 여성환경연대는 모두가 안전하고 자유롭게 월경하기 위해서는 일회용 생리대 안전성뿐만이 아니라 월경에 대한 공공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론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월경이 인권 문제이자 정치 의제라고 주장하며 지난 2018년, 약 20년 만에 다시 월경 페스티벌을 개최했습니다. 또한 시민단체, 정당과 함께 운동본부를 만들어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담아내기 시작했습니다. 2019년 서울시에서 모든 청소년에게 조건 없이 월경용품을 지급하고 공교육에서 월경 교육을 시행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가 만장일치로 가결됐습니다. 나아가 올해 3월 국회에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법안이 통과됐습니다. 우리는 월경이 개인의 사소한 일로 치부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변화가 필요합니다. 누구나 소득이나 나이, 지역, 장애 여부, 노동 및 주거 환경과 관계없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월경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공중화장실에 휴지가 비치되듯 생리대가 비치되고, 월경으로 학교나 직장을 쉬어도 비난의 눈초리를 받지 않고, '생리'라고 에둘러 표현되지 않고 월경이라고 언론에 보도되는 사회가 되면 어떨까요? 오늘은 5월 28일, 세계 월경의 날입니다. 월경의 날을 맞이해, SNS에서 #공공의 월경 00이 필요해 해시태그와 함께 여러분에게 필요한 변화를 말해주세요. 우리의 월경 말하기가 세상을 바꿔낼 거예요. ![]() "공공의 월경을 위해 공중화장실에 생리대가 비치되기를 바랍니다", "월경을 당당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인식의 변화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내가 경험한 월경은 어땠나요? 당신에게는 어떤 월경에 대한 공공정책이 필요한가요? 우리에게는 어떤 사회적 변화가 필요할까요? SNS에서 #공공의월경_00이필요해 해시태그와 함께 당신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생리대가 필요한 다양한 순간,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중화장실에 생리대 비치함을 운영하는 공공월경대 프로젝트 수도권 지역 14군데의 화장실에서 공공월경대 프로젝트 "여기 있어, 생리대"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우리 동네에 이용가능한 화장실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사용 후기를 작성해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모바일 커피 쿠폰을 드립니다. ![]() 유례없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해외에서는 월경 빈곤을 겪는 여성들이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보도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는 향후 3년 간 학교에서 월경용품을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고 일본은 월경용품 무료 배포 예산으로 140억원을 편성했습니다. 해외의 월경 빈곤 조사 결과와 월경 정책을 카드뉴스에 담았습니다. ![]() '깔창 생리대' 이후 한국의 상황은 어떨까요? 경기도는 올해 7월부터 모든 청소년에게 월경용품 구입비용을 지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에서는 청소년 월경용품 보편지급 조례가 제정되기도 했습니다. 더 많은 월경 정책의 사례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 코로나 때문에 헬스장 가기 어려운 요즘, 집에서 운동을 하는 홈트레이닝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홈트레이닝 용품은 제조사가 중금속, 프탈레이트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면 관련 정보를 알 수 없어 안전성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여러분의 운동은 안전한가요? 5분만 시간을 내어 여러분의 목소리를 담아주세요. ![]() 코로나19로 인한 판데믹 상황은 우리의 삶을 많이 바꿔 놓았습니다. 백신을 맞고 나면 우리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을까요? 그레타 툰베리가 말한 것처럼 "우리 모두의 집이 불타고 있습니다!" 여성환경연대는 기후위기와 그 영향을 직접 경험하고 있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모아 힘을 싣고자 합니다. 공감하는 여러분, 힘을 보내주세요. 부족하지만 소중한 구독자님의 의견으로 더욱 성장하겠습니다. 😀여기를 누르셔서 의견을 남겨주세요. 2주 후에 또 만나요! 제발~ 👇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도 여성환경연대 소식을 만날 수 있어요.👇 지속적인 여성환경연대 운동을 응원하신다면, 후원버튼도 꾹 눌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여성환경연대 뉴스레터입니다.